2026 셀토스 풀체인지 가격 총정리. 스포티지와 비교해 얼마나 차이 날까? 하이브리드 추가로 2900만 원대 예상. 현행 대비 가격 인상폭과 트림별 가격, 출시일까지 완벽 분석.

소형 SUV 시장 절대 강자로 군림해온 기아 셀토스가 풀체인지를 앞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 인상 소식에 예비 구매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하이브리드 모델이 추가되면서 가격이 준중형 SUV인 스포티지와 큰 차이가 없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연 셀토스 풀체인지는 기존의 가성비 명성을 이어갈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셀토스 풀체인지의 예상 가격과 스포티지와의 가격 비교, 그리고 구매 타이밍까지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현행 셀토스 가격과 풀체인지 예상 가격 비교
현재 판매 중인 2026년형 셀토스의 가격은 2169만 원에서 2906만 원까지 형성되어 있습니다. 1.6 가솔린 터보 모델은 트렌디 트림 2266만 원부터 시작해 X-Line 트림이 2906만 원이며, 2.0 가솔린 자연흡기 모델은 트렌디 2169만 원부터 X-Line 2809만 원까지입니다. 이는 소형 SUV 치고는 다소 높은 가격대이지만 준중형 세단인 아반떼 플랫폼을 바탕으로 넓은 실내 공간과 스포티지급 안전 편의 사양을 제공하면서 베이비 스포티지라는 별명까지 얻으며 인기를 끌어왔습니다.
그러나 2026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셀토스 풀체인지 모델은 상황이 달라질 전망입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풀체인지로 인한 기본 인상분이 300만원에서 350만 원 정도 예상되며, 하이브리드 모델은 여기에 300만 원에서 400만 원이 추가로 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계산하면 내연기관 가솔린 모델은 2500만 원에서 3200만 원, 하이브리드 모델은 2900만 원에서 3700만 원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하이브리드 모델의 경우 현대 코나 하이브리드의 기본 가격인 2955만원과 비슷하거나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이며, 상위 트림은 3000만 원 중반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많은 소비자들이 우려하는 부분입니다. 풀체인지 전 마지막 연식 변경인 2026년형 셀토스는 트림별로 최소 55만 원에서 최대 151만 원까지 인상되었는데, 시그니처 트림이 가장 많이 올라 기존 2750만 원에서 2901만 원이 되었습니다. 이런 추세를 볼 때 풀체인지 모델의 가격 인상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스포티지와의 가격 격차는 얼마나 좁혀질까
많은 예비 구매자들이 가장 걱정하는 부분이 바로 스포티지와의 가격 차이입니다. 현재 판매 중인 스포티지의 가격은 1.6 가솔린 터보 모델이 프레스티지 2836만원부터 시그니처 X-Line 3525만 원까지입니다. 2.0 LPG 모델은 2901만 원부터 3590만 원까지이며, 하이브리드 모델은 프레스티지 3458만 원부터 시그니처 X-Line 4107만 원까지 형성되어 있습니다.
셀토스 풀체인지의 예상 가격과 비교해보면 상당히 흥미로운 결과가 나옵니다. 셀토스 풀체인지 가솔린 모델의 최고 트림이 3200만 원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스포티지 가솔린 프레스티지 트림인 2836만 원과 약 400만 원 차이밖에 나지 않습니다. 더 큰 문제는 하이브리드 모델입니다. 셀토스 하이브리드 상위 트림이 3700만 원 정도로 예상되는데, 이는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프레스티지 트림인 3458만 원보다 오히려 비쌀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가격 인상폭을 어떻게 설정하느냐가 핵심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가격이 어중간하게 높아질 경우 소비자가 기능과 공간에서 우위를 가진 투싼이나 스포티지를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입니다. 실제로 스포티지는 전장이 더 길고 실내 공간도 넓으며 파워트레인 선택폭도 디젤과 LPG까지 포함해 훨씬 다양합니다. 셀토스 입장에서는 약 300만원에서 500만 원 정도의 가격 차이를 유지해야 소비자들이 소형 SUV로서의 셀토스를 선택할 명분이 생기는 셈입니다.
현행 셀토스가 스포티지 대비 약 600만원 정도 저렴한 가격대로 가성비를 내세워 4년 연속 소형 SUV 판매 1위를 차지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풀체인지 이후 가격 격차가 절반 수준으로 좁혀진다면 셀토스의 경쟁력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셀토스는 연간 판매량 61342대를 기록하며 전체 국산차 판매 순위 7위에 오를 정도로 인기가 높았는데, 이런 판매 실적이 가격 인상으로 인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셀토스 풀체인지 하이브리드의 경쟁력은?
그렇다면 가격이 오르더라도 셀토스 풀체인지를 선택할 만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가장 큰 변화는 바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의 추가입니다. 셀토스는 2019년 출시 이후 가솔린과 디젤 모델로 시작했다가 디젤 수요가 줄자 가솔린 모델만 판매해 왔는데, 이번 풀체인지에서 처음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도입됩니다.
셀토스 하이브리드는 1.6리터 가솔린 엔진과 전기모터를 조합한 병렬형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합니다. 복합 출력은 약 141마력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현대차 코나 하이브리드와 유사한 스펙이 적용될 전망입니다. 6단 듀얼클러치 변속기가 탑재되고 시스템 연비는 리터당 18킬로미터에서 20킬로미터 수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코나 하이브리드의 복합 연비가 최대 19.8킬로미터인 점을 고려하면 셀토스 하이브리드는 20킬로미터를 넘어설 가능성도 있습니다.
더욱 주목할 만한 부분은 전자식 사륜구동 시스템인 e-AWD의 적용입니다. 기아는 셀토스 하이브리드를 위한 전용 e-AWD 시스템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후륜에 독립적인 전기모터를 탑재해 전통적인 전륜 기반 하이브리드보다 뛰어난 구동력과 주행 안정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대차그룹에서 최초로 적용되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사륜구동 선호도가 높은 유럽 시장을 겨냥한 전략으로도 해석됩니다.
디자인 측면에서도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신형 셀토스는 기아의 최신 디자인 언어인 오퍼짓 유나이티드와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이 전면부에 배치됩니다. 헤드램프와 그릴이 연결된 현행 모델과 달리 보다 큼직하고 볼드한 디자인 요소가 적용될 것으로 보이며, 라디에이터 그릴은 굵직한 사각 수직형 패턴으로 변경됩니다. 북미 전용 모델인 텔루라이드와 유사한 패밀리룩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후면부는 기아 전기 SUV EV5를 연상케 하는 디자인이 적용됩니다.
실내는 더욱 파격적인 변화가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기존 모델에서 사용되던 물리 버튼 위주의 인터페이스는 사라지고 12.3인치 와이드 디스플레이와 컬럼식 기어 노브, 터치 기반의 센터패시아가 적용됩니다.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사용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인 ccNC도 탑재될 예정입니다. 또한 고속도로 주행 보조 2와 차로 유지 보조 2 같은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도 지원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금 사야 할까 기다려야 할까
셀토스 구매를 고민하는 소비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은 바로 구매 타이밍입니다. 현행 모델을 지금 구매할 것인지 아니면 풀체인지 모델을 기다릴 것인지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습니다.
지금 현행 모델을 구매하는 것의 장점은 명확합니다. 우선 가격이 풀체인지 모델보다 최소 300만원 이상 저렴합니다. 2026년형 셀토스는 연식 변경을 통해 상품성이 크게 강화되었습니다. 엔트리 트림부터 가죽 열선 스티어링 휠, LED 실내등, 글로브박스 조명이 기본 적용되었으며, 상위 트림에만 있던 고급 사양이 중간 트림까지 확대 적용되었습니다. 시그니처 트림부터는 10.25인치 내비게이션이 기본으로 포함되며 풀오토 에어컨, 애프터 블로우, 내비게이션 무선 업데이트 등이 제공됩니다.
또한 출고 대기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현행 셀토스는 2019년 출시 이후 꾸준히 생산되어 온 모델이기 때문에 생산 라인이 안정화되어 있어 출고가 빠른 편입니다. 반면 풀체인지 모델은 초기 출고 대기가 길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과거 인기 모델들의 풀체인지 출시 당시를 보면 6개월에서 1년까지 대기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반대로 풀체인지 모델을 기다리는 것의 장점도 분명합니다. 가장 큰 메리트는 하이브리드 모델의 선택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연비가 20킬로미터에 달하면 기존 가솔린 모델 대비 연료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습니다. 연간 2만 킬로미터를 주행한다고 가정하면 가솔린 모델은 약 240만 원의 연료비가 들지만 하이브리드는 약 150만 원 수준으로 연간 90만 원 정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3년만 타도 270만 원의 연료비 절감 효과가 있어 초기 구매가가 300만 원 비싸더라도 충분히 회수 가능합니다.
또한 최신 기술과 디자인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e-AWD 시스템은 기존 사륜구동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연비도 좋습니다. 눈길이나 빗길, 비포장도로에서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해 실용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12.3인치 디스플레이와 최신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고속도로 주행 보조 2 같은 첨단 기능들도 운전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여줍니다.
다만 풀체인지 모델 출시 시점이 2026년 상반기로 예정되어 있어 아직 6개월 이상 기다려야 합니다. 기아는 2025년 12월 양산을 시작해 2026년 1월 정식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모델은 4월경 별도 출시될 전망입니다. 자동차 업계는 당초 2025년 하반기 출시를 예상했으나 개발 일정이 연기되면서 2026년 상반기로 미뤄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결국 선택은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당장 차량이 필요하고 가격 부담을 줄이고 싶다면 현행 모델이 합리적입니다. 2026년형 셀토스는 연식 변경을 통해 상품성이 충분히 강화되었고 소형 SUV 판매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 검증된 모델입니다. 반면 6개월 정도 여유가 있고 하이브리드의 경제성과 최신 기술을 원한다면 풀체인지를 기다리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총정리표
| 구분 | 현행 셀토스 2026년형 | 셀토스 풀체인지 예상 |
| 가격 | 2169만원 ~ 2906만원 | 가솔린 2500만원 ~ 3200만원, 하이브리드 2900만원 ~ 3700만원 |
| 파워트레인 | 1.6 가솔린 터보, 2.0 가솔린 | 1.6 가솔린 터보, 2.0 가솔린, 1.6 하이브리드 |
| 연비 | 10.8 ~ 12.9 km/L | 가솔린 유사, 하이브리드 18 ~ 20 km/L |
| 사륜구동 | 전자식 4WD | 전자식 4WD, e-AWD (하이브리드) |
| 디스플레이 | 10.25인치 | 12.3인치 파노라믹 커브드 |
| 출시 시기 | 현재 판매 중 | 2026년 1월 (하이브리드 4월) |
| 스포티지와 가격 차이 | 약 600만원 | 약 300만원 ~ 500만원 |
| 주요 장점 | 저렴한 가격, 빠른 출고 | 하이브리드, e-AWD, 최신 기술 |
결론
셀토스 풀체인지는 하이브리드 추가와 최신 기술 적용으로 상품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가격도 상승해 스포티지와의 격차가 좁혀지면서 가성비 측면에서는 고민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현행 셀토스가 약 600만원 저렴한 가격으로 준중형 SUV급 공간과 사양을 제공하며 베이비 스포티지라는 별명을 얻었다면, 풀체인지 모델은 약 300만 원에서 500만 원 차이로 좁혀지면서 소비자들의 선택이 더욱 복잡해질 전망입니다.
특히 하이브리드 상위 트림이 3700만원 수준이 된다면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기본 트림보다 비싸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셀토스가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연비 20킬로미터 이상의 우수한 효율성과 e-AWD의 차별화된 주행 성능, 그리고 최신 디자인과 기술력으로 소비자들을 설득해야 할 것입니다.
구매를 고민하는 분들은 자신의 상황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당장 차량이 필요하고 가격 부담을 줄이고 싶다면 현행 2026년형 셀토스가 여전히 매력적인 선택입니다. 반면 6개월 정도 여유가 있고 장기적인 유지비 절감과 최신 기술을 중시한다면 풀체인지 하이브리드 모델을 기다리는 것이 현명합니다. 다만 초기 출고 대기가 길어질 수 있다는 점과 가격 인상폭이 예상보다 클 수 있다는 점은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결국 셀토스 풀체인지의 성패는 기아가 가격을 얼마나 합리적으로 책정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스포티지 턱밑까지 가격이 올라간다면 소형 SUV로서의 정체성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소비자들은 2026년 1월 정식 출시를 앞두고 기아가 발표할 최종 가격을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