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드 2 개봉 후기 총정리 1편 뛰어넘은 오프닝 성적과 흥행 실적 북미 1010억 원 첫날 수익 국내 박스오피스 1위 관객 반응과 평점 분석 화려한 영상미와 For Good 명곡까지 완벽 피날레

1년의 긴 인터미션을 마치고 돌아온 위키드 포 굿이 전작을 뛰어넘는 성적으로 관객들과 만나고 있습니다. 2025년 11월 19일 한국에서 전 세계 최초로 개봉한 이후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화제의 중심에 섰는데요. 전작보다 더 높은 초반 흥행 수치를 기록하면서 연말 극장가의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습니다. 브로드웨이 뮤지컬 원작 영화의 완결편답게 엘파바와 글린다의 진정한 우정이 어떻게 완성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오늘은 위키드 2의 실제 흥행 성적과 관객 반응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개봉 첫날부터 폭발적 반응 박스오피스 1위 등극
위키드 포 굿은 개봉 첫날인 11월 19일 하루 동안 10만 8천여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박스오피스 정상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전작 위키드의 개봉 첫날 성적인 8만 6천명을 훌쩍 넘어서는 수치입니다. 더욱 놀라운 점은 올해 외화 최고 흥행작으로 꼽히는 F1 더 무비의 개봉일 관객 수도 가볍게 넘어섰다는 것인데요. 심지어 천만 뮤지컬 영화로 기록된 알라딘의 오프닝 스코어 7만 2천 명도 크게 상회하는 성적입니다.
개봉 당일 자정 기준으로 사전 예매 관객 수는 19만 1천여 명을 돌파했고 예매율은 50.4퍼센트를 기록하며 예매율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러한 높은 사전 예매율은 전작에 대한 긍정적인 입소문과 1년을 기다려온 팬들의 열광적인 반응이 합쳐진 결과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로튼 토마토 팝콘 지수에서는 98퍼센트라는 놀라운 수치를 기록하며 글로벌 전역에서 폭발적인 호평을 이끌어냈습니다.
개봉 이후 이틀 연속 국내 박스오피스 1위를 유지하면서 주말까지 흥행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전작이 국내에서 224만 관객을 동원했던 것을 고려하면 위키드2 역시 비슷하거나 더 높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수능 이후 학생 관객층이 대거 유입되면서 주말 흥행에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북미 흥행 전작 대비 49퍼센트 증가한 첫날 수익
북미 시장에서의 성적은 더욱 놀랍습니다. 11월 21일 북미에서 개봉한 위키드 포 굿은 사전 시사 매출을 포함해 개봉 첫날에만 6천868만 달러 약 1천10억원의 수익을 올렸습니다. 이는 전편 위키드의 개봉 첫날 성적인 4천621만 달러 약 680억 원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로 약 49퍼센트나 증가한 금액입니다.
미국 엔터테인먼트 전문매체 버라이어티는 현재 추세대로라면 위키드 포 굿의 개봉 첫 주말 누적 수익이 1억 5천150만 달러 약 2천23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전작의 1억 1천250만 달러를 크게 웃도는 수치이며 브로드웨이 원작 영화 개봉 기록 중 역대 최고치에 해당합니다. 실제로 위키드 포 굿은 북미 개봉일 기준 2025년 최고 티켓 수입을 기록하며 오랜만에 등장한 대형 흥행작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버라이어티는 이번 성적이 북미 극장가에 오랜만에 등장한 대형 흥행작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북미에서 마지막으로 1억 달러 이상 오프닝 성적을 기록한 작품이 지난 7월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위키드 포 굿의 흥행은 침체된 극장가에 활기를 불어넣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이맥스와 4DX 등 특수상영관에서도 강세를 보이며 추수감사절 연휴와 12월까지 장기 흥행이 기대된다고 전망했습니다.
전작 위키드가 전 세계에서 7억 5천885만 달러 약 1조 1천155억원의 흥행 수익을 올렸던 것을 감안하면 위키드 포 굿 역시 글로벌 시장에서 비슷하거나 더 높은 성과를 거둘 가능성이 높습니다. 브로드웨이 뮤지컬 원작 영화로서는 역대 최고 흥행 기록을 갈아치울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입니다.
관객 반응 호불호 갈리지만 화려한 영상미는 극찬
관객들의 실제 반응은 전작에 비해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네이버 포털 평점은 7점대를 기록 중이며 CGV 골든에그지수는 89퍼센트로 전편의 94퍼센트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습니다. 다만 북미 시장조사업체 시네마스코어의 극장 출구 조사에서는 전편과 동일한 A등급을 받으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호평을 받는 부분은 단연 화려한 영상미입니다. 전작보다 더 커진 스케일과 황홀한 시각적 스펙터클이 관객들의 눈을 사로잡았다는 평가가 주를 이룹니다. 존 추 감독의 연출 아래 시각적 요소와 음악이 완벽하게 결합되어 올해 최고의 시네마틱 경험이라는 반응도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작품의 하이라이트인 For Good 넘버는 감정선을 잘 살려 감동적이었다는 평이 우세합니다.
다만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합니다. 원작 뮤지컬의 2막이 전개가 빠르고 임팩트 있는 곡이 부족하다는 오래된 지적을 그대로 답습했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특히 등장인물들의 감정선이 일관되지 않아 인물들의 변화에 공감하기 어렵다는 평가가 이어졌습니다. 전작의 디파잉 그래비티 같은 강렬한 넘버가 없고 기억에 남는 곡이 적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또한 오즈의 마법사에 대한 사전 이해가 중요한데 한국의 경우 해외 대비 인지도가 낮은 편이라 이야기 전개가 급작스럽고 개연성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관객들도 있었습니다. 새로 추가된 No Place Like Home과 The Girl in the Bubble 곡도 원작의 약점을 보완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반응이 우세합니다.
전작과 비교 더 깊어진 감정선과 우정의 완성
위키드 포 굿은 전작에서 마법 같았던 엘파바와 글린다의 우정이 어떻게 시련을 겪고 완성되는지를 보여줍니다. 사람들의 시선이 더는 두렵지 않은 사악한 마녀 엘파바와 사람들의 사랑을 잃는 것이 두려운 착한 마녀 글린다가 엇갈린 운명 속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전작이 쉬즈 대학교에서 둘이 친구가 되어가는 과정을 차근차근 보여줬다면 이번 작품은 서로 다른 길을 선택한 두 사람이 거대한 역경을 함께 이겨내는 과정을 그립니다. 글린다는 착한 마녀라는 대중적인 이미지를 받아들이고 마법사와 마담 모리블은 엘파바를 서쪽의 사악한 마녀로 몰아갑니다. 이 과정에서 갈등과 오해를 넘어 서로를 다시 이해하게 되고 마침내 우정을 회복하는 모습이 깊은 울림을 줍니다.
SNS 상에는 엘파바와 글린다의 우정에 눈물이 났다거나 1편보다 더 깊은 울림을 받았다는 반응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특히 영화 끝부분에서 두 사람이 마지막으로 만나 For Good을 부르는 장면에서 극장 분위기가 숙연해졌다는 후기가 많습니다. Because I knew you I have been changed for good이라는 가사가 나올 때 많은 관객들이 울컥했다고 합니다.
원작 뮤지컬의 대표 넘버를 비롯한 여러 곡과 영화에만 담긴 새 OST가 인물들의 감정을 한층 깊고 극대화해 전달하면서 뮤지컬과는 또 다른 매력을 선사한다는 평가도 받고 있습니다. 160분이었던 전작보다 소폭 감소한 러닝타임으로 관객 접근성도 향상되었습니다.
결론
위키드 포 굿은 개봉 첫날부터 전작을 뛰어넘는 오프닝 성적으로 흥행 신호탄을 쏘아 올렸습니다. 국내에서 10만 8천 명 북미에서 첫날 1천10억 원이라는 놀라운 수치를 기록하며 브로드웨이 원작 영화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습니다. 화려한 영상미와 For Good 넘버의 감동적인 완성도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원작 뮤지컬 팬이라면 만족스러운 피날레라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다만 전작에 비해 임팩트 있는 곡이 부족하고 감정선이 일관되지 않다는 비판도 존재합니다. 오즈의 마법사에 대한 사전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도 일부 관객들에게는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년을 기다려온 팬들에게는 충분히 만족스러운 작품이며 엘파바와 글린다의 우정이 완성되는 과정을 보고 싶다면 극장에서 꼭 경험해 볼 만한 영화입니다.
총정리표
| 구분 | 내용 |
| 국내 개봉일 | 2025년 11월 19일 전세계 최초 |
| 북미 개봉일 | 2025년 11월 21일 |
| 개봉 첫날 국내 관객 | 10만 8천여 명 박스오피스 1위 |
| 개봉 첫날 북미 수익 | 6천868만 달러 약 1천10억원 |
| 사전 예매율 | 50.4퍼센트 예매율 1위 |
| 로튼 토마토 팝콘 지수 | 98퍼센트 |
| CGV 골든에그지수 | 89퍼센트 |
| 시네마스코어 등급 | A등급 |
| 전작 국내 흥행 | 224만 관객 |
| 전작 글로벌 흥행 | 7억 5천885만 달러 |
| 주요 명곡 | For Good No Place Like Home |
| 특징 | 화려한 영상미 깊어진 감정선 |